펫 티켓을 지켜야 하는 이유, 반려인이라면 필독!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면서 서로의 안전과 행복을 위해 꼭 알아야 할 펫 티켓 수칙이 있어요. 여기서는 반려인이라면 반드시 기억해야 할 5가지 펫 티켓 수칙과 비반려인도 알아두면 좋은 팁을 정리해 보았어요. 기억해야 할 5가지 펫 티켓 수칙 1. 반려견과 동반 외출 시, 목줄·가슴줄 및 인식표 착용 필수! 맹견의 경우 입마개도 필수로 착용해야 합니다. 과태료 안내: 목줄 미착용 시: 1차 20만원 / 2차 30만원 / 3차 이상 50만원 인식표 미착용 시: 1차 5만원 / 2차 10만원 / 3차 이상 20만원 맹견 목줄/입마개 미착용 시: 1차 100만원 / 2차 200만원 / 3차 이상 300만원 2. 2개월령 이상의 개는 동물등록 필수! 미등록 시 과태료: 1차 20만 원 / 2차 40만 원 / 3차 이상 60만 원  시·군·구청 또는 동물등록 대행 기관에서 등록할 수 있어요. 3. 반려견과 외출 시 배변봉투를 꼭 챙겨주세요. 공공장소에서 배변 처리를 하지 않으면 불쾌감을 줄 수 있어요. 위반 시 과태료: 1차 5만 원 / 2차 7만 원 / 3차 이상 10만 원  4. 맹견 소유자의 법정 교육 이수와 책임보험 가입 의무 위반 시 과태료: 1차 100만 원 / 2차 200만 원 / 3차 이상 300만 원  맹견 종류: 도사견, 아메리칸 핏불테리어, 아메리카 스태퍼드셔 테리어, 스태퍼드셔 불테리어, 로트와일러 등 5종과 그 잡종의 견 법정 교육 확인: [동물보호 복지 온라인시스템( apms.epis.or.kr )]에서 확인 가능  5. 엘리베이터와 같은 공동주택 건물 내부의 공용공간에서는 반려견을 안거나 목줄의 목덜미 부분을 잡아주세요. 비반려인이 알아두면 좋은 TIP! 타인의 반려견을 눈을 빤히 응시하지 말아주세요. 공격의 신호로 받아들여질 수 있어요. 타인의 반려견을 만지기 전에는 반드시 견주의 동의를 구해야 합니다. 견주의 동의 없이 먹이를 주지 마세요. 알레르기 등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

강아지 귀 관리법, 귀털 뽑기부터 청소까지 꼭 알아야 할 모든 것

이미지
강아지 귀 관리법, 귀털 뽑기부터 청소까지 꼭 알아야 할 사항들을 알아보겠습니다. 우리 강아지의 귀 건강, 매일 신경 쓰고 계신가요? 전문가들에 따르면, 강아지의 70%가 평생 한 번 이상 귀 질환을 겪는다고 해요. 하지만 제대로 된 귀 관리만으로도 대부분의 귀 질환을 예방할 수 있어요. 귀 건강을 위한 필수 관리법을 알아볼까요? 1. 견종별 귀 관리 주기 귀 모양 견종 예시 청소 주기 귀털 제거 주기 늘어진 귀 코커스파니엘 비글 바셋하운드 주 1회 3주마다 선 귀 시바견 말라뮤트 진돗개 2주 1회 4주마다 반 늘어진 귀 프렌치불독 보스턴테리어 10일 1회 3-4주마다 ...

전국 동물 고등학교별 특징과 진학 전략

이미지
반려동물 산업이 연평균 12% 성장하면서, 전문 인력 수요도 급증하고 있어요. 특히 한국펫고등학교를 비롯한 반려동물 특성화고들이 주목받고 있는데요. 각 학교별 특징과 진학 전략을 자세히 알아볼까요? 학교별 특징과 진학 전략 학교명 설립연도 학과구성 특화프로그램 주요시설 진로현황 한국펫고 1975년 • 매니지먼트과 • 뷰티케어과 • 현장실습 • 자격증취득 • 산학협력 • 교육센터 • 훈련장 • 미용실 • 취업 60% • 진학 40% 경북자연과학고 1965년 • 말관리과 • 반려동물복지과 • 반려동물미용과 • 말산업특화 • 동물복지 • 실습중심 • 승마장 • 동물병원 • 실습장 • 취업 55% • 진학 45% 대구보건고 1970년 • 반려동물케어과 • 동물간호 • 보건의료 • 산업연계 • 실습실 • 케어센터 • 병원실습실 • 취업 50% • 진학 50% 전주생명과학고 1968년 • 반려동물과 • 사육관리 • 동물행동 • 실무교육 • 사육장 • 실습실 • 훈련장 • 취업 45% • 진학 55% 1. 한국펫고등학교의 강점 체계적 커리큘럼: 이론+실습 병행, 현장중심 교육, 자격증 연계 우수한 시설: 반려동물 교육센터, 실내외 훈련장, 전문 미용실습실 진로 지원: ...

한국펫고등학교 기숙사 생활, 예비 신입생이 알아야 할 모든 것

이미지
한국펫고등학교는 전교생이 기숙사 생활을 하는 전국 유일의 반려동물 전문 특성화고입니다. 이룸관 (남학생)과 다움관 (여학생)으로 나뉜 기숙사에서는 공동체 생활을 통해 자립심과 사회성을 키우고 있어요. 기숙사 생활이 처음인 예비 신입생들을 위해 상세한 정보를 알아볼까요? 1. 예비 신입생이 알아야 할 모든 것 구분 이룸관(남) 다움관(여) 공용시설 운영관리 수용인원 30명 수용 (2인 1실) 110명 수용 (2인 1실) • 휴게실 • 세탁실 • 정수기실 • 24시간 사감실 • CCTV • 출입통제 방별시설 • 2층 침대 • 개인책상 • 옷장 • 냉장고 • 2층 침대 • 개인책상 • 옷장 • 냉장고 • 전자레인지 • 세탁기/건조기 • 휴게공간 • 야간순찰 • 화재감지 • 응급조치 특이사항 • 베란다 있는 방 • 수납공간 여유 • 공부방 연결 • 베란다 있는 방 • 수납공간 여유 • 휴게실 확충 • 정기 청소 • 시설 점검 • 방역 관리 • 생활지도 • 안전교육 • 건강관리 2. 일과 및 규칙 평일 일과: 06:30 기상 07:30 아침식사 08:30 등교 22:00 점호 23:00 취침 주말 일과: 자율적 시간 운영 외출/외박 가능 자율학습 선택 동아리 활동 3. 생활 관리 시스템 안전 관리: 24시간 사감 상주, CCTV 설치, 출입문 통제 ...

한국펫고등학교 입학 준비 - 재학생 현황부터 전형 방법까지

이미지
2023년 기준 한국펫고등학교는 전교생 130명 중 여학생이 105명(81%)으로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요. 전국 각지에서 모여드는 학생들과 높은 취업률로 주목받는 한국펫고등학교, 입학을 꿈꾸는 예비 신입생들을 위한 모든 정보를 알아볼까요? 1. 재학생 현황부터 전형 방법까지 구분 통계 비율 특징 성별 분포 • 여학생: 105명 • 남학생: 25명 • 여학생: 81% • 남학생: 19% • 여학생 선호도 높음 • 미용/케어 분야 관심 지역별 분포 • 수도권 • 영남권 • 기타 • 수도권: 35% • 영남권: 30% • 기타: 35% • 전국 단위 모집 • 지역 제한 없음 학과별 분포 • 매니지먼트과 • 뷰티케어과 • 매니지먼트: 45% • 뷰티케어: 55% • 전공별 균형 배분 • 실무중심 교육 2. 입학 전형 상세 안내 전형 일정: 원서접수: 10월 중 온라인 또는 방문 접수 1차: 서류심사 2차: 면접평가 최종: 합격자 발표 전형 요소: 내신성적: 교과목 반영 비율과 산출 방법 숙지 면접평가: 인성과 전공 적합성 평가 3. 준비 전략 학업 준비: 관련 교과 학습, 동물 관련 독서 전공 적합성: 반려동물 경험, 봉사활동 참여 면접 준비: 지원동기와 진로계획 정리, 실전 연습 4. 학교생활 적응 가이드 기숙사 생활: 규칙적인 생활과 공동체 적응 학업 생활: 이론과 실습...

[꿀팁] 강아지 식사량 관리 - 수의사가 알려주는 올바른 급여 방법

이미지
강아지의 식사량과 식욕은 건강관리의 핵심입니다. 하루 4번 산책에도 불구하고 계속 음식을 찾는 행동이 걱정되시죠. 과식과 비만을 예방하면서도 건강하게 관리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1. 강아지 식사량 관리 체중 기본 사료량 활동량 보정 간식 허용량 3kg 60-90g +10~20g 전체의 10% 4kg 80-120g +15~25g 전체의 10% 5kg 100-150g +20~30g 전체의 10% 6kg 120-180g +25~35g 전체의 10% 🔗 펫 티켓을 지켜야 하는 이유, 반려인이라면 필독! 2. 급여 방법 및 문제 해결 구분 문제점 해결방안 기대효과 ...

처음 산책하는 3개월 강아지, 리드줄 꼬임 해결 가이드

이미지
3개월된 강아지가 보이는 이런 행동은 매우 자연스러운 반응입니다. 생애 첫 산책에서 느끼는 불안감과 호기심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단계적인 훈련으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 🐕 행동의 원인 1. 불안감과 보호 본능 2. 새로운 환경에 대한 두려움 3. 아빠를 안전한 존재로 인식 4. 호기심 많은 시기의 특징 📝 단계별 훈련 방법 1단계: 실내 훈련 ✔️ 집안에서 리드줄 착용 연습 ✔️ 기본적인 '앉아', '기다려' 명령 훈련 ✔️ 보상을 통한 긍정적 강화 2단계: 산책 준비 ✔️ 조용한 시간대 선택 ✔️ 짧은 거리부터 시작 ✔️ 간식 준비 필수 3단계: 산책 훈련 ✔️ 한 사람이 일관되게 리드 ✔️ 바른 자세 유지시 보상 ✔️ 점진적으로 거리 증가 💡 실천 팁 🦮 짧고 자주 산책하기 🦮 일관된 명령어 사용 🦮 적절한 보상 타이밍 🦮 인내심을 가지고 훈련 ⚠️ 주의사항 ❗ 강압적인 훈련 금지 ❗ 과도한 운동량 주의 ...

갑작스러운 고양이 눈 사고, 이것만은 꼭 알아두세요!

이미지
⚠️ 즉시 조치 필요 고양이의 눈은 매우 민감하며, 소금물 접촉은 자극이나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수의사의 검진을 받으시는 것을 강력히 권장드립니다. 현재 상황에서 해야 할 일: ✔️ 동물병원 방문 준비 ✔️ 고양이의 눈 상태 관찰 ✔️ 추가 자극 방지 ✔️ 고양이가 눈을 긁지 않도록 주의 주의해야 할 증상: 👁️ 눈을 과도하게 깜빡임 👁️ 눈물이 많이 남 👁️ 눈을 계속 비빔 👁️ 충혈이나 부종 👁️ 눈을 제대로 뜨지 못함 병원 방문 전까지 주의사항: ❌ 사람용 약품 추가 사용 금지 ❌ 임의로 눈을 세척하지 말 것 ❌ 고양이가 눈을 긁지 못하게 할 것 ✔️ 조용하고 어두운 환경 제공 이유: 1. 고양이의 눈은 사람과 구조가 다름 2. 사람용 약품은 자극을 줄 수 있음 3. 초기 대응이 중요한 응급상황 4. 2차 감염 위험이 있음 ※ 가능한 빨리 수의사의 진찰을 받으시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길고양이에게 물렸을때 치료비 지원 알아보기

이미지
길고양이에게 물려 치료비 부담이 크셨겠어요. 반려묘의 빠른 회복을 기원하며, 병원비 지원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1. 길고양이와 접촉 사고 시 병원비 지원 여부 길고양이와의 접촉으로 인한 사고 치료비 지원은 지역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어요. 특히, 길고양이에 의한 상해는 반려동물 보호자에게 큰 부담이 될 수 있어 이를 일부 지원해 주는 지자체도 있답니다. 보통, 고양이와 관련된 지원은 일반적이지 않지만 유기동물 구조 및 보호와 관련된 지원으로 해당될 수 있는지 살펴보시면 좋아요. 2. 병원비 지원 신청 절차 일반적으로는 다음 절차를 통해 지원 여부를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습니다. 1) 지역 동물보호센터나 지자체 문의 길고양이로 인한 상해 치료비를 지원하는 지는 거주 지역의 동물보호센터나 시청/구청의 동물보호과에 문의하셔야 해요. 지자체에 따라 지원 범위와 절차가 다를 수 있으니, 구체적인 상황을 설명드리고 지원 가능 여부를 확인해 보세요. 한국동물보호협회 홈페이지 바로가기! 2) 진단서 및 영수증 준비 병원에서 발급받은 진단서와 치료 영수증은 지원 신청 시 꼭 필요한 서류예요. 만약 지원 가능하다면, 지자체에 제출하셔야 하니 잘 보관해 두세요. 3) 신청서 작성 및 제출 지원이 가능하다는 안내를 받으면, 신청서를 작성해 지자체에 제출하면 됩니다. 이때, 온라인 신청이 가능한 곳도 있으니 절차를 미리 확인해 보세요. 4) 필요 시 추가 서류 제출 일부 지자체에서는 사진, 사고 경위서 등을 요구할 수도 있어요. 이러한 서류가 필요한지 지자체에 미리 확인하시면 더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어요. 3. 추가적으로 참고할 사항 민간 보험: 만약 고양이가 반려동물 보험에 가입돼 있다면, 보험을 통해 일부 보상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지역 고양이 돌봄 단체: 일부 지역 고양이 돌봄 단체에서도...